PowerPoint 프레젠테이션

Published on Slideshow
Static slideshow
Download PDF version
Download PDF version
Embed video
Share video
Ask about this video

Scene 1 (0s)

[Virtual Presenter]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저희는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 복원위원회 회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의는 ‘19년 6월에 구성되어 ‘21년 7월과 10월에는 명지국제 신도시와 다산 하단지구 일원에서 복원 공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계획적인 복원과 수생태계와 연계한 지역사업을 추진할 것입니다. 복원 대상은 하단지구 능동면과 다산지구 옥포동 일원으로 일반 하구 폐쇄에 해당하는 지역을 복원할 예정입니다. 저희는 투수로 하구 하류 완화조치 하구 폐쇄 하구 하류 및 하상형성 등 생태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Scene 2 (56s)

낙동강 하굿둑 현황. 01.

Scene 3 (1m 2s)

[Audio] 여러분 오늘은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추진현황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낙동강하구의 기수생태계 복원에 대한 현재 추진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발표에서 이어서 30 킬로미터 지점에서는 매리원동과 신도시 지역에서 물금 맥도수문이 설치되었고 낙동강하구 둑을 따라 녹산수문과 순아수문이 설치되었습니다. 또한 10 킬로미터와 20 킬로미터 지점에서는 대저수문과 평강천을 통해 국제자유물류도시 신공항 에코델타시티 연구개발특구 및 항공 클러스터가 형성되었습니다. 그리고 서부산권에는 복합산업유통단지와 서부산유통단지가 명지국제에는 명지국제신도시의 1단계와 명지주거단지가 그리고 김해대동에는 첨단일반 산업단지가 설립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운하천을 통해 생태계 복원에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상으로 제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Scene 4 (2m 16s)

[Audio] "제 이름은 [이름]입니다. 오늘은 제가 고등교육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 설명드릴 내용은 '낙동강하구 기수 생태계 복원 추진현황'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4번째 슬라이드는 '1861 대동여지도'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슬라이드는 중요한 역사적 지도인 대동여지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동여지도는 조선시대의 지도로 낙동강 중학교 아래 수변지역을 상세하게 그려놓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지도는 낙동강 생태계 복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재미있는 사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지도를 통해 우리는 낙동강의 생태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으며 앞으로의 복원 추진에 대한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입니다. [회사명]에서 맡고 있는 낙동강 생태계 복원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cene 5 (3m 30s)

5. 1904 다지천(Braided Rivers). 한국토지농산조사보고 (미츠나리, 우도, 1904).

Scene 6 (3m 38s)

6. 4 km. 낙동강하구 울타리섬 이야기(반용부, 2014). Cook River, Braided river course, West Coast, South Island, New Zealand.

Scene 7 (3m 49s)

10 104. 010 ynotg-iY -In 40. Eco Delta City.

Scene 8 (3m 56s)

1934 녹산수문 (Noksan Bar.) 대동수문 (Daedong Gate).

Scene 9 (4m 3s)

9. 텍스트, 실외, 식물, 나무이(가) 표시된 사진 자동 생성된 설명. 1969 철새의 천국 (Migratory birds’ habitat).

Scene 10 (4m 15s)

[Audio] 저는 고등교육 분야에서 활동하는 교수입니다. 제가 발표를 맡게된 38개 슬라이드 중 10번째 슬라이드를 준비했습니다. 이 슬라이드는 낙동강하구 기수 생태계 복원 추진현황에 관한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철새들의 중간 기착지에 대해 살펴봅니다. 낙동강하구는 생태계를 복원하여 철새들에게 안전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낙동강하구 기수 생태계 복원 작업은 노력과 시간이 들어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낙동강하구는 안정적인 중간 기착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10번째 슬라이드를 마치겠습니다..

Scene 11 (5m 2s)

시설현황. 11. 낙동강 하굿둑 현황. 위 치. 어도. [image]. 우안(증설)배수문.

Scene 12 (5m 22s)

시설현황. 12. 낙동강 하굿둑 현황. 좌안배수문. [image] set s 10m. 어도.

Scene 13 (5m 38s)

시설현황. 낙동강 하굿둑 현황. 우안배수문. [image]. [image]. [image].

Scene 14 (5m 58s)

낙동강 하굿둑 역할과 가치변화. 02.

Scene 15 (6m 5s)

하굿둑 건설배경. 15. 구분 취수중단 (일) 최고염분농도(PSU) ‘75년 ‘76년 ‘77년 ‘78년 ‘79년 ‘80년 ‘81년 평균 16 9 45 17 1 1 7 14 1.14 2.30 3.59 2.77 0.47 0.55 1.23 1.72.

Scene 16 (6m 28s)

[Audio] 여러분 이번에 소개해드릴 내용은 "낙동강하구 기수 생태계 복원 추진현황"입니다. 이 16번째 슬라이드에서는 "하굿둑 건설효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하굿둑 건설로 인해 부 울 경 지역의 생활 공업 및 농업용수의 양이 충분히 확보되어지고 있으며 매년 약 7.5억㎥의 물이 공급됩니다. 또한 신평과 장림지구 매립지 조성으로 지역 경제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부산과 서부경남을 연결하는 교통도 개선되어 10 킬로미터를 단축하여 매일 10만대의 차량 통행이 가능합니다. 또한 시민들을 위한 즐기고 쉴 수 있는 생태공간을 제공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염수쇄기와 수문2-2의 건설로 더욱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하굿둑 건설로 인한 효과"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Scene 17 (7m 30s)

하굿둑 복원요구. 17. 낙동강 하굿둑 역할과 가치변화. (기수역 감소) 생물다양성의 보고 기수역 범위 축소 (하굿둑 하류&상류 약 15km → 하굿둑 하류 5km ).

Scene 18 (7m 49s)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노력. 03.

Scene 19 (7m 56s)

[Audio] 여러분 저는 38번째 슬라이드 중 19번째 슬라이드를 맡은 대학교수입니다. 이번 슬라이드는 '낙동강하구 기수 생태계 복원 추진현황'이라는 주제로 K-water에서 발표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는 환경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습니다. 낙동강 하구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기관들이 모여 작업하였고 12개 기관에서 하구 둑 관련 사항을 의결하였습니다. 또한 '낙동강 수질·수생태계 단절 해소를 위한 하구둑 시범 수문개방'이 진행되었습니다. 시범운영을 통해 분석 모형을 개발하고 지역 의견을 수렴하였습니다. 또한 '하구통합운영센터'가 설립되어 다양한 기관들 간의 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총 4차에 걸친 시범운영이 완료되었고 2022년에는 낙동강 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방안을 의결하였습니다.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복원을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일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Scene 20 (9m 13s)

낙동강유역위 심의 ∙ 의결.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기본방향. 해수 유입에 따른 영향 모니터링, 자연상태에 가깝도록 해수 유입기간 확대 및 생태계 복원 * (‘21년) 4개월 → (‘22년 이후) 매 대조기 해수유입.

Scene 21 (9m 38s)

낙동강 하굿둑 개방 실현.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노력. (의 미) 행정부가 하굿둑 개방을 결정한 최초사례.

Scene 22 (9m 56s)

기수역 모니터링 현황. 22. < 염분거동 예측 Modeling>. < 실시간 염분 Monitoring >.

Scene 23 (10m 10s)

[Audio] 안녕하세요. 낙동강하구 기수 생태계 복원 추진현황에 대한 발표를 이어서 하겠습니다. 저희는 오늘 제23장 모니터링 기반 강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water에서는 실시간 염분 측정망을 확대 구축하여 하천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염분과 DO 등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지점을 계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굿둑 상류에도 모니터링 지점을 더 추가할 예정입니다. 총 48개소 중 18개소가 추가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신속한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한 유향 및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설비도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해수 유입 모델링의 예측 신뢰도를 높이고 상류 8 킬로미터 최심부에서 해수 유입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비를 설치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Scene 24 (11m 26s)

모니터링 기반 강화. 24.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노력. 하굿둑 수문 진동〮변형률 감시시스템 구축.

Scene 25 (11m 44s)

수질 및 수생태계 영향 모니터링. 해수유입에 따른 영향구간 수질 및 수생태 분야 모니터링 시행 중.

Scene 26 (12m 16s)

[Audio] 여러분 제가 여러분께 제시하는 주제는 "낙동강하구 기수 생태계 복원 추진현황"입니다. 제 38개 중 26번째 슬라이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번 슬라이드에서는 수질과 어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살펴봅니다. 수질 측면에서는 유기물 및 영양염류 등의 해수유입이 관찰되지 않아서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하절기에는 녹조 등의 계절적 요인과 상류 방류량 감소로 인해 5차(8월)부터 7차(10월)까지 조사하면서 Chl-a가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어류 측면에서는 상류에서 회유성 어종인 은어(283개체)와 학꽁치(121개체) 등이 발견되어 생태소통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상·하류에서의 정치망 조사와 어도 조사를 통해 주요 회유성 어종인 연어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해수유입 이후 실뱀장어 소상 효율이 개선되었는지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상류에서는 BOD와 T-O-C Chl-a의 모니터링 결과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cene 27 (13m 45s)

지하수 모니터링 결과. 27.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노력. 27. (현황) 총 300개소(국가 관측망 4공, 보조 관측망 45공, 현장조사공 217공, 연구용 등 34공).

Scene 28 (14m 10s)

[Audio] 여러분 이제는 우리가 낙동강 하구 생태계 복원 추진 현황에 대해서 알아볼 시간입니다. 여러분께서 아시다시피 이러한 생태복원은 관계기관과 전문가들의 협업과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28번째 슬라이드에서는 낙동강 주요 회유성 어종 및 기수생물종 방류(5건) 식생복원(1건)이라는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그리고 생물다양성 회복을 위해 대조기 해수유입을 통한 기수역 조성과 함께 생태복원사업도 같이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해에는 방류한 기수재첩의 서식확인과 새섬매자기 군락지 조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욱 많은 생물종이 생태계에서 살아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번 슬라이드에서는 은어 치어 연어 기수재첩 치패 동남참게 치게 새섬매자기 등의 어종이 어떤 내용으로 방류되고 있는지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하천성장 하구산란 바다성장 하천산란 기수성장 바다산란 염생식물 등의 다양한 특징을 가진 어종들이 있으며 이를 통해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회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희 K-water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낙동강 하구의 생태계 복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Scene 29 (15m 43s)

기수생태계 복원 성과 홍보 및 공유. 04.

Scene 30 (15m 50s)

[Audio] 여러분 오늘은 38개 중 30번째 슬라이드인 낙동강 하구 기수 생태계 복원 추진현황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우리나라의 최장 하천인 낙동강과 바다가 만나는 부산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35년 전에 건설된 낙동강 하굿둑의 영향으로 주변 생태계가 악화되었는데요 이를 복원하기 위해 지난달부터 하굿둑 수문을 원칙적으로 개방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로 제기되었고 일본에서도 나가라강 하굿둑을 비롯한 여러 하천에서 시민단체가 개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선진 사례로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의 기후시의 “나가라강 시민학습회” 사무국장 무토 히토시씨는 “나가라강 하굿둑의 경우 국가가 관계자 협의체를 설치하지 않아서 전진이 없었지만 하굿둑 개방은 세계적인 대세입니다. 우리는 낙동강의 성과를 배우고 여론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이번 발표에서는 낙동강 하구의 생태계 복원 추진현황과 함께 일본에서의 비교 사례도 살펴보았는데요 이는 생태계재생 하구개방이 세계적인 대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대대적으로 추진될 것임을 나타냅니다..

Scene 31 (17m 31s)

성과 홍보(해외). 31. 기수생태계 복원 성과 홍보 및 공유.

Scene 32 (17m 38s)

성과 홍보(해외). 32. 영국 Liverpool City (‘22.5.18). Mergey River 개발을 위해 견학(방문) 탄소중립 : 시화조력발전소 생태증진 : 하굿둑 개방.

Scene 33 (17m 49s)

[Audio] "여러분 오늘은 38개 중 33번째 슬라이드를 보여드리게 되어서 기쁩니다. 이번 슬라이드에서는 낙동강하구의 생태계 복원 추진현황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슬라이드에는 국내에서의 성과 홍보를 위해 앞으로 추진될 하구 달밤 문화공연과 참여 계층별 맞춤형 생태문화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낙동강하구의 생태 문화 역사 등 가치를 확산하고 지역 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계획되었습니다. 2022년 9~11월 총 3회에 걸쳐 약 200여명의 참석자가 예상되며 총 60회에 걸쳐 실시될 예정입니다.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활발한 활동으로 낙동강하구의 생태계 복원과 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에 동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Scene 34 (18m 54s)

정보공유 강화. 34. 34. 농민 면담‧설명회 5회, 전광판 설치(부산농업기술센터) 등 정보 공유‧소통.

Scene 35 (19m 19s)

35. Business Name :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Landscape Remodeling Project Business Period : ‘18.11.~’23.4 Business Expenses : 14.4 billion won(about $10.73 million).

Scene 36 (19m 32s)

36. 三島歸帆 (삼도귀범) : 삼도에서 낙조를 뒤로한채 돌아오는 돛단배의 광경 : the sight of a sailboat returning from the three islands with the sunset behind it.

Scene 37 (19m 44s)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undefined.

Scene 38 (20m 31s)

[image] Qae. 감사합니다..